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0264

[HTML/CSS] id, class, name 속성의 차이점 1. id, class, name 속성의 차이점. id class name 하나의 요소만 가능. (페이지에서 유일함) 여러 요소에 적용가능 함. 여러 요소 적용가능 함. CSS에서 식별자로 사용 가능 #아이디 로 사용. CSS에서 식별자로 사용 가능 .클래스명 으로 사용가능. CSS에서 사용불가 자바스크립트의 getElementById를 활용할때 사용됨. form태그에서의 submit 전송시 사용, 폼 값을 넘길 필요가 없다면, name은 생략. jQuery : $("#아이디") jQuery : $(".클래스명") jQuery: $("input[name=이름]") 2. 기본 사용법 2-1. id와 class - id와 class는 자유롭게 짓되, 숫자로 시작해서는 안된다. - id는 #아이디 로, cla.. 2021. 3. 1.
[서버] Session을 알아보자. (+쿠키) 1. Session이란 클라이언트 별로 서버에 저장되는 정보.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되던 쿠키와 다르게 서버에 저장된다. 서버가 종료되거나 유효기간이 지나면 사라진다. 1-1. 세션 이용 방법 웹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클라이언트를 식별하는 session id를 생성한다. 서버는 session id로 key와 value를 저장하는 Httpsession을 생성하고, session id를 저장하고있는 쿠키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한테 전송한다. 클라이언트는 서버 측에 요청을 보낼 때, session id를 가지고 있는 쿠키를 전송한다. 서버는 쿠키의 session id로 Httpsession을찾는다. javax.servlet.http.HttpSession으로 세션 데이터를 다룰 수 있다. 1-.. 2021. 3. 1.
[서버] WEB과 WAS를 알아보자. 1. WEB란 ? 웹서버는 HTML페이지 등을 네트워크망에 종속되지않고, 웹서비스를 할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2. WAS(Web Application Server)란 ? 웹서버 + 웹 컨테이너 인터넷 상에서 HTTP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나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해주는 미들웨어(소프트웨어 엔진)이다.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동적 서버 콘텐츠를 수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웹 서버와 구별되며, 주로 데이터 베이스서버와 같이 수행된다. 3. Web Container(웹 컨테이너)란 ? JSP와 서블릿을 실행시킬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웹 컨테이너 혹은 서블릿 컨테이너라고 한다. 웹 서버에서 JSP를 요청하면 톰캣에서는 JSP파일을 서블릿으로 변환하여 컴파일을 수행하고, 서블릿 수행결과를 웹 서버에게 전달하.. 2021. 3. 1.
[개발공부] 시간기록 11회차(누적 합계 1104시간 18분) 2021. 3. 1.
[JSP] 요청처리 객체(HttpServletRequest)와 응답처리 객체(HttpServletResponse) 1. HttpServletRequest 1-1 클라이언트로 부터 오는 정보가 입력됨. ex) 네이버에 들어가서 회원이 로그인을 하기 위해서는 회원은 로그인 페이지에서 ID Password를 입력하고, ID와 Password를 요청받은 네이버 서버는 해당 정보에따라 로그인을 판별 해 준다. 이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클라이언트가 회원 정보를 확인해줄 것을 서버(아파치)로 요청하고 -> 해당 처리는 동적인 처리이기 때문에 회원 정보인 ID와 Password는 리퀘스트(요청객체)에 담겨져서 회원 정보 판별을 위해 WAS로 간다. -> WAS에서는 ID, Password 정보를 DB에서 검색하고, DB에 정보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한다 -> 판단 후 response객체를 통해 회원이면 로그인, 아니면 회원가.. 2021. 2. 28.
[JSP] JSP와 Servlet(서블릿) 비교 1. Servlet 서블릿은 서버에서 웹페이지 등을 동적으로 생성하거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자바로 작성된 프로그램이다. sjervlet은 java코드 안에 HTML태그가 삽입되며 자바언어로 되어있다. (.java가 확장자이다.) 서블릿은 자바언어를 웹어플리케이션을 조금 더 쉽개 개발하기위해 만든 API(라이브러리,클래스)다. 2.JSP(Java Server Page) HTML내부에 자바코드를 삽입하는 형식이 jsp다. HTML은 코딩하기 어렵고 불편해서 이를 보완하기위해 만들었다. JSP는 서블릿기반의 서버 스크립트 기술이다. 서블릿을 이용하면, 자바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며 화면 인터페이스 구현에 너무 많은 코드를 필요로 하는 등 비효율적인 측면들이 있다. 때문에 서블릿을 작성하지 않고도 간편하.. 2021. 2. 28.
728x90
반응형